사이트 내 전체검색

 

 

 

 

 

 

국순전(麴醇傳)

 

- 술의 일생 -

    서하 조부님의 대표작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가전체소설

 

국순(麴醇 : 술)의 자(字)는 자후(子厚 : 흐뭇)인데, 그 조상은 농서(隴西) 사람이다. 90대 조상 모(牟 : 보리)는 후직(后稷)을 도와서 백성을 먹이는 데 공(功)이 있었다. 『시경(詩經)』에 이른바 ‘나에게 밀과 보리를 주도다’ 한 것이 그것이다. 모가 처음에 숨어 살면서 벼슬하지 않고 말하기를 “나는 반드시 밭 갈아 먹고 살 것이다.” 하며 밭이랑에서 살았다.

임금이 그 후손(後孫)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조서(詔書)를 내려 편안한 수레로 불렀다. 군(郡)과 현(縣)에 명령하여 가는 곳마다 후하게 예물을 보내게 하고, 신하에게 명령하여 직접 그 집에 나아가, 방아와 절구 사이에서 교분을 맺고 빛과 화합하여 티끌처럼 되게 하였다. 훈훈한 기운이 점점 스며들어서 온자(醞藉)한 맛이 있으므로 기뻐서 말하기를 “나를 이루게 하는 자는 벗이라 하더니, 과연 그 말이 옳구나.” 하였다.

 

곧 맑은 덕으로 소문이 나서 나라에서 그 집에 정문(旌門)을 세웠다. 임금을 따라 환구(圜丘)에 제사지낸 공(功)으로 중산후(中山侯)에 봉해지고, 식읍(食邑)만호(戶)와 식실봉(食實封) 오천 호(戶)를 주었고 국씨(麴氏)의 성(姓)을 내려 주었다. 5세(世) 후손은 성왕(成王)을 도와 사직(社稷)을 자기의 책임으로 삼아 태평성대를 이루었고, 강왕(康王)이 즉위하면서 점점 소홀한 대접을 받아 금고(禁錮)에 처하라는 명령이 내렸다. 그리하여 후세에 세상에 나타난 자가 없고 모두 민간에 숨어 살게 되었다.

 

위(魏)나라 초기에 순(醇)의 아비 주(酎 : 소주)가 세상에 이름이 알려졌고, 상서랑(尙書郞) 서막(徐邈)과 서로 친하게 조정에 그를 끌어들여, 말할 때마다 주가 입에서 떠나지 않았다. 그때 어떤 사람이 임금에게 아뢰기를 “ 막이 주와 함께 사사로이 사귀어 점점 난을 일으키려 합니다.” 하였다. 임금이 노하여 막을 불러 꾸짖으니 막이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하기를 “신이 주를 좇은 것은 그가 성인(聖人)의 덕이 있으므로 때때로 그 덕을 마셨습니다.” 하니 임금이 그를 꾸짖었다. 진(晉)나라가 왕위를 물려받게 되자, 세상이 어지러울 줄을 알고 벼슬에 나아갈 뜻이 없어 유령(劉怜)·완적(阮籍)의 무리와 더불어 죽림(竹林)에 놀면서 그 일생을 마쳤다.

 

순(醇)의 기국(器局)과 도량(度量)이 크고 깊어, 출렁대고 넘실거림이 만경창파(萬頃蒼波)와 같아 맑게 하려 해도 맑아지지 않고 뒤흔들어도 흐려지지 않았다. 그 풍미(風味)가 한 시대를 기울게 하여 자못 기운을 사람들에게 더해 주었다. 일찍이 섭법사(葉法師)에게 나아가 온종일 담론하였는데, 그 자리게 있던 사람들이 모두 절도(絶倒)하였다. 마침대 유명하게 되어 호(號)를 국처사(麴處士)라 하였다.

 

공경(公卿)·대부(大夫)·신선(神仙)·방사(方士)로부터 머슴꾼·목동·오랑캐·외국 사람에 이르기까지 그 향기로운 이름을 맛본 사람은 모두 그를 흠모하여, 매번 성대한 모임이 있을 때마다 순이 오지 않으면, 모두가 실망한 표정으로 말하기를 “국처사가 없으면 즐겁지 않다.” 하니 당시에 애중(愛重)됨이 이와 같았다.

 

태위(太尉) 산도(山濤)는 감식(鑑識)의 능력이 있었는데, 일찍이 보고 말하기를 “어떤 늙은 할미가 이런 아이를 낳았는가. 천하의 백성을 그르칠 자는 반드시 이 아이일 것이다.” 하였다. 공부(公府)에서 불러 청주종사(淸州從事 : 좋은 술)를 삼았으나 격(鬲 : 명치)의 윗쪽은 마땅한 자리가 아니므로 평원독우(平原督郵 : 나쁜 술)를 시켰다. 얼마 뒤 탄식하기를 “나는 쌀 닷 말 때문에 허리 굽혀 시골의 하찮은 관리에게 절하지 않을 것이고, 마땅히 술 단지와 도마 사이에 서서 담론할 것이다.” 하였다.

 

그때 관상을 잘 보는 사람이 그에게 말하기를 “그대 얼굴에 자주빛 기운이 떠도니, 반드시 귀하게 되어 천종(千鍾)의 녹(綠)을 누릴 것이다. 마땅히 좋은 값을 기다려 팔라.” 하였다. 진(陳)나라 후주(後主) 때에 양가(良家)의 자제로서 주객원외랑(主客員外郞)에 임명되었는데, 임금이 기국(器局)이 남다름을 보고 장차 크게 쓸 뜻이 있었다. 그리하여 금구(金甌 : 금으로 만든 사발)로 덮어 뽑아서 광록대부예빈경(光祿大夫禮賓卿)으로 삼고 작(爵)을 올려 공(公)으로 삼았다.

 

대개 군신(君臣)의 회의에는 반드시 순으로 하여금 짐작(斟酌)케 하니, 나아가고 물러나며 주고받은 것이 조용히 뜻에 맞아, 임금이 깊이 받아들이고 말하기를 “경(卿)이야말로 곧고도 맑아서, 내 마음을 열어 주고 내 마음을 기름지게 하는 사람이다.” 하였다. 순이 권력을 잡게 되자, 어진이 와 사귀고 손님을 접대하며, 늙은이를 봉양하고 음식을 접대하며, 귀신에게 제사지내고 종묘(宗廟)에 제사지내는 것을 모두 순이 관장하였다. 임금이 밤에 잔치를 베풀 때도 오직 그와 궁녀만이 모실 수 있었고, 아무리 가까운 신하라 하더라도 참여할 수 없었다.

 

이로부터 임금이 곤드레 만드레 취하여 정치를 돌보지 않았고, 순은 제 입에 재갈이 물려 말하지 못하므로, 예법(禮法)을 아는 선비들은 그를 미워하기를 원수같이 하였으나 임금이 매양 그를 보호하였다. 순은 또 돈을 거둬들여서 재산 모으기를 좋아하니 당시 여론이 그를 더럽다 하였다. 임금이 묻기를 “경은 무슨 버릇이 있는가?”하니, 대답하기를 “옛날에 두예(杜預)는 『좌전(左傳)』에 심취한 버릇이 있었고, 왕제(王濟)는 말[馬]에 몰두한 버릇이 있었는데, 신(臣)은 돈에 집착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하였다. 임금이 크게 웃으면서 보살핌이 더욱 깊었다. 일찍이 입궐하여 임금 앞에서 아뢸 때, 순이 본래 입에 냄새가 있으므로 임금이 싫어하며 말하기를 “경은 나이가 많고 기운이 다하여 나의 부림을 감당치 못하는가?” 하였다.

 

순은 드디어 관(冠)을 벗고 사죄하기를 “신이 받은 작(爵)을 사양하지 않으면 망신(亡身)할까 두려우니, 신이 집에 돌아가도록 허락하신다면 신은 분수에 만족 하겠습니다” 하였다. 임금이 좌우(左右)에게 명령하여 부축하여 나왔다. 집에 돌아와 갑자기 병이 나서 하룻저녁에 죽고 말았다. 아들은 없고 족제(族弟) 청(淸)이 뒤에 당(唐)나라에 벼슬하여 내공봉(內供奉)에 이르렀고 자손이 나라 안에 번성하였다.

 

사신(史臣)은 말한다. 국씨(麴氏)의 조상이 백성에게 공(功)이 있었고 청백(淸白)을 자손에게 남겨 주어 창(鬯)이 주(周)나라에 있는 것과 같아 아름다운 덕이 하늘에까지 이르렀으니, 참으로 할아버지의 풍도(風度)가 있다 하겠다. 순(醇)이 들병[挈甁]의 지혜로 독 들창[甕牖]에서 일어나서 일찍 금구(金甌)의 선택에 뽑혀 술 단지와 도마에 서서 담론하면서도, 옳은 것을 올리고 그른 것을 막는 일을 하지 않고, 왕실(王室)이 혼란하여 엎어져도 붙들지 못하여 마침내 천하에 웃음거리가 되었으니 거원(巨源 : 앞에 나온 산도)의 말이 참으로 믿을 만하다.

 

 경희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교수 문학박사 김진영 역주